유튜브로 보는 與 대권 구도…이재명 독주에 '조커' 추미애 주목

秋, 이재명 조회수 1/10 수준…구독자는 21만명으로 1등

작년 尹과 갈등하며 구독자 3만→20만…경선 파급력 주목

 

더불어민주당의 대권 주자들이 저마다 소통을 강조하면서 유튜브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경쟁하고 있다. 선두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누적 조회수 2956만회로 다른 주자들을 압도하지만, 추미애 전 법무장관(21만1000명)이 구독자 수에서는 오히려 이 지사(19만3000명)를 앞선다. 


추 전 장관이 지난해 하반기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갈등을 빚는 가운데 '강성 친문'이 추 전 장관을 지지하는 흐름이 확인된 것으로, 향후 추 전 장관이 민주당의 대선 경선 국면에서 '조커'로 떠오를지 주목된다.

민주당에서 대권 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한 주자 9명은 모두 각각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9명은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박용진 의원, 이광재 의원, 김두관 의원, 최문순 강원도지사, 양승조 충남도지사,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등이다.

이 지사는 지난 2014년 채널을 개설한 뒤 성남시장, 19대 대선 경선 출마, 경기도지사 활동 등을 꾸준히 게시해온 만큼 구독자 19만3000명, 누적 조회수 2956만회로 다른 주자들을 월등하게 앞서고 있다.

여권 내 2위 주자인 이낙연 지사는 구독자 9만2000명, 누적 조회수 281만회이고, 박용진 의원이 구독자 4만6000명, 누적 조회수 220만회로 뒤를 이었다. 박 의원은 대권 주자 중 가장 이른, 진보신당에서 활동하던 2010년에 채널을 개설했다.

이외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다른 주자들도 고군분투하고 있으나, 구독자 수는 1만명을 밑돌고 있다. 정 전 총리의 경우 지난해 11월 채널을 만들고, 지난 4월 총리직 사임 이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렇듯 본격적으로 대권 경쟁에 뛰어든 주자들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아직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지 않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이 지사보다도 많은 구독자 21만1000명을 보유하고 있다.

추 전 장관 유튜브 채널의 누적 조회수가 280만회로 이낙연 전 대표와 비슷한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많은 구독자 수다. 특히 추 전 장관이 직접 게시한 영상은 지난 3월18일이 마지막일 만큼 유튜브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

이는 검찰개혁을 적극 지지하는 '강성 친문'이 구독자로 급격하게 유입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녹스인플루언서'에 따르면 약 1년 전인 지난해 6월20일 기준 이 전 대표의 구독자 수는 9만6000명으로, 추 전 장관의 구독자(1만7500명)를 훨씬 앞섰다. 

하지만 이후 추 전 장관과 윤 전 총장의 갈등이 격화하면서 구독자 수가 상승세를 보였고, 지난해 11월17일 3만2600명이었던 구독자 수는 불과 한 달만인 12월17일에는 20만4000명으로 6배나 뛰었다.

이 시기는 추 전 장관이 윤 전 총장에 대해 징계를 청구하고, 윤 전 총장이 이에 불복해 관련 절차를 밟는 등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던 때다. 결국 추 전 장관은 12월17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일련의 과정에서 유입된 추 전 장관의 구독자 17만여명은 검찰개혁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여권 내 강성 세력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낙연 전 대표의 경우 1년 전보다 구독자 수가 오히려 4000여명 줄고, 같은 기간 이 지사는 13만명에서 19만명으로 6만명이 늘었다. 이는 이 지사가 하락세를 겪고, 이 지사가 선두로 치고나가는 여론조사의 흐름과도 일치된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윤 전 총장이 본격적인 대권 도전을 앞둔 상황에서 '강성 친문'이 윤 전 총장과 대척점에 선 추 전 장관에게로 집결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실제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지난 11~12일 시행한 범 '진보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추 전 장관(5.5%)은 이 지사(31.6%), 이 전 대표(15.0%), 박용진 의원(6.1%)에 이어 4위에 올랐다(정세균 전 총리 4.2%). 

추 전 장관이 대선 경선 연기론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는 등 대선 출마 공식화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향후 경선 국면에 얼마나 큰 파급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기사에 인용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