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디플레이션 우려' 탈출했지만…"향후 물가관리가 관건"

물가상승률 올해 1%대 후반 전망…"디플레이션 우려 줄었다"

내년까지 경기회복으로 물가상승…"그 후엔 물가관리에 달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벗어난 우리 경제 앞에 '물가 관리'라는 숙제가 등장했다. 올해와 내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이후에는 현재 추세를 이어나가리라고 장담할 수 없는 탓이다.

30일 한국은행 '2021년 5월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로 전년 동기 대비 1.8%를 내놨다. 내년에는 이보다 소폭 낮아진 1.4%를 전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2021년 소비자물가가 2021년 1.7%의 상승률을 기록한 뒤 2022년에는 1.1%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가 컸지만 1년 만에 상황이 뒤바뀐 것이다. 지난 4월에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마저 제기됐다.

그러나 이러한 물가 상승에는 기저효과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0.5%로 떨어진 것과 비교한 것이라서 상대적으로 올해에는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다는 뜻이다.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추락하며 지난해 한 때 초유의 '마이너스' 사태까지 겪었던 국제유가는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에 있어서 가장 큰 상방리스크는 국제유가"라며 "올해 연간 국제유가로 60달러대 초중반을 예상했는데 이보다 더 오른다면 소비자물가 역시 더욱 상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축수산물 가격 역시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지난해 잇따른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작황 부진이 나타나면서 농축수산물 가격은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파(270.0%), 사과(51.5%), 달걀(36.9%)을 중심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3.1% 올랐다.

코로나19 사태를 지나며 억눌렸던 소비가 분출하는 '펜트업 소비'도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을 이끌 전망이다.

한은은 지난달 발표한 '향후 펜트업(pent-up) 소비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둔화되면서 지난해 감소한 민간소비 4%포인트(p)정도가 향후 플러스 효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러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속될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향후 1~2년간 국내외 경기 회복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겠지만 '코로나 효과'가 사라진 이후 경기 흐름을 짐작하기 어려운 탓이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실장은 "향후 1~2년 내에 디플레이션 우려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이후의 물가상승률은 향후 당국이 물가를 어떻게 관리해나가느냐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