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도발 한 달째 잠잠한 북한…재개 시점은?

3월25일 이후 '새 전략무기' 시험 멈춘 북한

5월 한미 정상회담 이전 도발에 주목

 

북한이 지난달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한 달째 무력시위를 멈추고 있다. 도발을 이어갈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다른 행보다.


북한은 지난 3월25일 신형전술유도탄이라고 명명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미국의 새 행정부가 출범한 뒤 본격적인 무력도발을 예고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그러나 북한은 이후 약 한 달간 미사일 발사 등 무력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무력도발과 비슷한 시기에 대미 담화를 통해 강경한 메시지를 냈던 압박 행보도 멈췄다.

대신 북한은 내부 결속과 단속을 강화하는 행보를 이어갔다. 당 세포비서대회를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주재하며 최말단 기층 조직의 기강까지 다졌다.

오는 27일에도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의 대회가 진행되는 등 이 같은 내부 챙기기 행보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북한의 이 같은 행보를 두고 애당초 무력시위 자체가 대외 메시지를 노린 것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단거리 탄도미사일에 대해 관대한 태도를 보였던 트럼프 행정부의 스탠스가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유효한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일시적 이벤트를 선보인 것이라는 것이다.

지난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미국이 대북제재 위반을 다시 언급하고 유엔도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북한은 곧 발표된 미국의 대북정책의 '톤'을 어느 정도 확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북한이 지난달 미사일 발사 당시 '국방과학정책 관철'을 이유로 내세운 만큼 미국에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기보다 자체적인 '시험'에 더 방점을 둔 발사를 진행했다는 해석도 있다.

북한은 지난 2019년과 지난해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무력 행보를 보였다.

따라서 북한은 조만간 '새 전략무기'에 해당하는 무기 체계의 시험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 관건은 시점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의 대북정책 공식 발표 직후 무력시위를 재개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미국이 최근 북한의 인권 문제를 언급하는 등의 압박 행보가 새 행정부의 공식 대북정책에도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공식적으로는 국방정책 이행이라는 명분을 들면서 동시에 미국의 압박에 대응하는 차원의 행보를 보일 수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미국의 대북정책 확정 시점은 아직 예측할 수 없지만 내달 말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전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대북정책 수립에 있어 한국의 '입장'을 어느 정도 배려할지가 대북정책의 발표 시점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